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을 해주세요.
댓글 및 이벤트 참여는 GKL 임직원만 가능합니다.
초기 비밀번호는 앞의 두 자리를 제외한 사번입니다.
비밀번호는 8~20자리 영문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혼합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05-03
조회 1,069
스마일 증후군 단골, 감정을 상품화하는 감정 노동자
이번에 함께 할 주제는 ‘스마일 페이스 증후군(Smile face syndrome)’입니다. 요즘은 얼굴을 뜻하는 ‘페이스’라는 말이 생략돼 ‘스마일 증후군’이라고도 부르는데요. 먼저, 스마일 증후군이란, 자신의 실제 감정을 억누른 채 웃는 얼굴로 고객을 응대해야 하는 ‘감정 노동자’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감정 노동자’라는 용어는 사회학자 앨리 러셀 혹실드가 저서 ‘마음의 관리, 감정의 상품화’에서 소개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주로 자신의 감정을 상품화해 함께 실어서 서비스하는 직군, 즉 고객에게 좋은 이미지를 줘야 하는 사람에게 많이 보이는 증상입니다.
사회적 가면, 제때 벗지 못하면 마음의 병으로
사실 스마일 증후군은 심리학 현장에서 ‘가면 우울증’으로 더 많이 불리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경우 건강한 자기상을 가지고 있다가 직장에서 적절하게 사회적 가면을 쓴 후, 퇴근할 때 가면을 벗고 자신의 일상을 잘 살아간다면 크게 문제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너무 오랫동안 사회적 가면 속에 사는 것이 익숙해져 혼자 있을 때나 편안한 관계 상황에서도 가면을 벗지 못할 때, 심각한 마음의 문제가 생겨나는 것이죠.
가면성 우울에서 사용되는 ‘가면’이란, 페르소나라는 말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페르소나는 집단 사회생활에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개념이지만 과도하게 자신의 속마음과 다른 모습으로 가면을 쓴 채, 오래 생활해 온 사람의 경우에는 심각한 우울감과 불면증에 시달리게 됩니다.
요새 이러한 감정 노동자의 수요가 많아지면서 ‘가면 우울증’으로 상담센터를 찾는 수요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자기 스스로도 마음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해 심리 검사 결과를 마주하고 나서야 그 심각성을 깨닫고 놀라기도 하는데요. 여러분은 지금 마음의 상태가 어떠하신가요? 스마일 증후군 간편 테스트로 자가 마음 진단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마인드 리셋과 감정 메모로 부정적 감정 덜어내기
그렇다면 이러한 스마일 증후군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스마일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마인드 리셋 기법입니다.
매일매일 반복되는 회사생활 속에서 우리는 자신을 지켜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는데요. 그렇지 않으면 마음의 속성은 금방 그 일상의 굴레에 물들어 버리게 됩니다.
‘마인드 리셋’이란, 마음을 그때그때 상황이나 임무에 맞게 바꾸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직장인의 경우, 아침에 회사에 출근하면 ‘나는 지금 고객을 만나는 일을 한다’와 같이 자기암시를 하면서 직장의 임무에 맞는 마인드로 세팅하는 겁니다.
그렇게 업무를 마치고 퇴근할 때 ‘나는 이제 본연의 나, 000으로 돌아간다’라고 세팅한 후, 마음의 태도를 바꿔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제가 많이 추천하는 방법은 출∙퇴근을 기점으로 동일한 음악을 듣는 것인데요. 음악은 청각이라는 감각을 자극해 마음의 세팅 전환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마음 태도 전환 작업이 원활해진다면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집중력이 높아지고 일을 벗어난 이후 자신의 소중한 영역에서도 오롯이 머무를 수 있는 효과를 줘, 결국 일을 하는 또 다른 자기(self)와 일을 떠난 실제 자기(self)로 머무르는 삶의 균형을 찾을 수 있게 된답니다.
♥ 댓글은 사랑입니다 ♥
목록으로
댓글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