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이용을 위해 로그인을 해주세요.
댓글 및 이벤트 참여는 GKL 임직원만 가능합니다.
초기 비밀번호는 앞의 두 자리를 제외한 사번입니다.
비밀번호는 8~20자리 영문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혼합해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2023-05-25
조회 1,067
반려동물 인구 1,500만 명 시대인 지금,
반려동물은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기사는 조금은 무겁지만 반려인이라면 당연히 겪게 될 반려동물과의 이별과 이별의 슬픔을 조금은 잘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펫로스 증후군이란?
펫로스 증후군이란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을까요?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분들은 한 번쯤은 들어본 말일 텐데요.
펫로스 증후군이란 pet loss syndrome(펫로스 신드롬)으로 반려동물을 떠나보냈을 때 보호자가 느끼는 정신적인 고통 및 다양한 증상을 의미합니다.
한 연구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무지개다리를 건넜을 때, 보호자는 가족을 잃었거나 혹은 자녀를 잃었을 때와 같은 감정을 느끼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반려동물은 보호자에게 많은 의존을 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보호자는 스스로 더 자책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요. 더욱이 대부분의 반려동물은 인간보다 수명이 짧기 때문에 생각보다 보호자가 어린 나이에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하게 됩니다.
죽음이란 것이 경험한다고 익숙해지는 것은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죽음에 익숙하지 않을 때, 애도하고 대처하는 법 또는 슬픔을 극복하는 법에 미숙할 때 이별을 경험하게 되면 반려동물을 떠나보내는 것이 더 힘들다고 합니다.
펫로스 증후군 위로하기
1. 충분히 슬퍼하기
펫로스 증후군을 잘 이겨내는 첫 번째 방법은 충분히 슬퍼하기입니다. 스스로 괜찮다며 감정을 숨기고 덮어두기보다는 현재 힘든 감정을 표출하고 표현하며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 도움 됩니다.
2. 공감할 수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하기
반려동물을 보낸 슬픔에 대해 이해와 공감을 받지 못한다면 우울감이 더 심해질 수도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사람들 또는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과 이야기하는 것이 위로가 됩니다.
아무래도 반려동물을 키워보지 않은 사람들은 반려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반려동물을 떠나 보내는 마음을 잘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는데요. 그럴 때는 그 사람에게 이해를 바라기보다는 마음이 추스러질 때까지 조금 멀리하고, 공감할 수 있는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3. 추억하고 기리는 시간을 갖기
반려동물을 추억하며 기리는 시간을 가지는 것 역시 펫로스 증후군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누군가를 떠나보낼 때 사람들이 장례식을 통해 고인을 기리며 감정을 정리하고 애도하는 시간을 갖는 것처럼 반려동물을 떠나보냈을 때도 장례식이나 다양한 방법으로 반려동물을 충분히 추억하고 기리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
♥ 댓글은 사랑입니다 ♥
목록으로
댓글0개